지금까지 살아오면서
가장 행복했던 순간을 한 번 떠올려 보세요.
어렸을 때 엄마 아빠와 같이
바닷가에 놀러 갔던 경험을 얘기하는 학생이 있어요.
또 어떤 학생은
자전거를 처음 배울 때 경험이라든가
행복했던 어떤 순간들이 사람마다 있어요.
그런데 처음에 학생들에게 그것을 써보라고 하면
학생들이 대부분 마치 영화를 보는 것처럼 씁니다.
내가 걸어가고 있고 누구를 만났고
바다에 들어갔는데 멀리 구름이 떠 있었고
엄마 아빠가 사건의 중심이죠.
그런데 오감을 이용해서 쓰라고 하면
학생들이 처음에는 어려워하지만 곧 적응하죠.
멀리 바닷가에 갈매기가 떠 있는데
갈매기의 끼룩끼룩 우는 소리가 들렸고
바다에 들어갔을 때
물이 종아리에 닿는 느낌이 시원했고
그런데 조금 더 들어가니
해초가 내 발을 핥는 것이 느껴졌다.
내 동생이 와서 나를 물에 집어넣었고
그때 마셨던 바닷물이 아주 짰다는 거예요.
학생들에게 이 글쓰기를 시켜보면
학생들이 정말 몰입한다는 걸 알 수 있어요.
나중에는 그때 경험 속으로
완전히 들어가 버려요.
그냥 시각을 이용했을 때와는 다릅니다.
이렇게 감각이 경험과 이어지는데요.
이 경험이 예술 행위,
글쓰기 같은 행위를 통해서
우리의 감각을 더 일깨울 수 있어요.
그래서 이 글쓰기를 하고 나서
학생들에게 물어보면..
그 뒤에는 일상을 살아갈 때도
다섯 가지 감각을 다 떠올린다는 거예요.
이렇게 감성 근육을 조금 더
단단하고 강하게 만들어주는 것이죠.
육체 근육이 발달한 사람은 같은 양의 음식을 먹어도
기초대사량이 높아서 살이 잘 안 찐다고 하잖아요.
감성 근육이 잘 발달한 사람 역시
더 많은 것을 느끼면서도
정신 부담을 느끼지 않습니다.
잘 느끼는 건
그렇다면 왜 중요할까요?
안 느끼면 되잖아요.
바쁜데..
잘 느끼는 사람은
남의 의견에 잘 휘둘리지 않아요.
자기 느낌이 있잖아요.
이 느낌이라는 것은
우리가 지식으로 아는 것과 다릅니다.
내가 정말 느꼈기 때문에
훨씬 더 강력하게 그것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면
와인을 전문적으로 테이스팅 하는 사람들은
대중의 의견을 듣고 와인을 고르지 않겠죠?
평생 음악을 사랑하고 들어온 사람이 있으면
자기 취향이 생기죠.
이런 사람들은
사람들의 별점 보고 콘서트 가고 그러지 않아요.
저 역시 인터넷 서점에 들어가서 책을 고를 때
별점이라든가 리뷰를 거의 보지 않아요.
자기 느낌의 데이터베이스가 풍부한 사람은
대단히 확고한 의견을 갖게 됩니다.
이런 사람들은
집단의 의견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 것입니다.
'감성(感聲) 공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좋아하는 사람이 생기기 전에 먼저 자기 자신과 사랑에 빠져 보아라. [여성을 위한 세상을 보는 지혜 中] 캐런 스페터라러소 님 (0) | 2020.12.28 |
---|---|
나는 인생의 어둠과 빛이 녹아들어 내 나이의 빛깔로 떠오르는 내 나이를 사랑한다. [나는 마흔에 생의 걸음마를 배웠다. 中] 신달자 님 (0) | 2020.12.28 |
사실 내 안에는 모든 나이가 다 있지. 그 세월들을 다 거쳐 왔으니까. [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中] 미치 앨봄 님 (0) | 2020.12.27 |
왜 그대들은 하나같이 초봄에 피어나지 못해 안달인가? [아프니까 청춘이다 中] 김난도 님 (0) | 2020.12.27 |
짐 같이 들어 줄 너의 존재를 보고 있노라면, 인생 꽤 잘 살았다 싶다. (0) | 2020.12.27 |
댓글